본문 바로가기
  • 감돌이네 건강이야기
건강

후유장해진단서, 휴유장애진단서 vs장애진단서

by 감돌베이비 2022. 7. 2.

후유장애란 질병, 상해, 산재 등으로 질병이 완치되지 못하거나 이전과 같은 노동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후유장해진단서란 이처럼 후유장애가 있는 경우 이사실을 증명하는 서류이고, 보상을 청구할 때 주로 이용된다. 


후유장해보험금


후유장해에 대한 보험금을 청구할 때 후유장애진단서를 많이 이용하며 보통 보상은 보험회사에서 취급하는 후유장애보험금이 주를 이루며 청구를 위해 후유장애진단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후유장해보험금이란 보험회사 약관에 따라 사고나 질병으로 영구적인 장해가 남아있을 때 청구하는 보험금으로 보장내용은 보험상품의 개별 약관에 따라 다르다.


후유장해 진단서 발행 절차


의사가 환자 진료 후 각종 검사와 검진에 따라 후유장애 정도를 진단하여 작성한다. 후유장애 진단서가 법적 효력을 지닌 문서이다 보니 책임의 문제로 일반 병원에서는 후유장해 진단서 발행과 관련된 평가 진료나 발행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무 병원이나 무턱대고 예약하지 말고 꼭 예약 시 후유장해 진단서 발행 목적임을 밝히고 예약을 진행해야 한다. 실제 발행 여부는 진료 후에 의사가 결정한다. 


후유장해진단서 발행 시 주의사항


보험사는 되도록 후유장애 진단금을 지급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지급할 내용을 축소한다. 가끔 보험사가 후유장해진단 때문에 의료자문을 하자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료자문 동의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의료자문의 원래의 취지는 보험금이 과잉 청구되는 의료사기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보험사 측에서 보험금 축소 혹은 회피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자문 동의 여부는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게 좋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