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교합이란?
치아의 정상적인 교합은 위턱의 치아가 아래턱의 치아를 바깥쪽으로 덮는 상태이다. 부정교합이란 위턱과 아래턱이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못하거나 치아가 삐뚤어진 상태를 말한다. 여러 가지 경우가 있고 아래 앞니가 위 앞니보다 앞으로 나와있는 경우, 위 앞니가 아래 앞니를 아예 덮는 경우, 치아 중심축이 위아래 다른 경우, 치아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경우 다양한 부정교합이 있다.
부정교합의 원인
선천적으로 치아의 수가 많거나 부족한 경우, 턱이 치아와 비교해서 너무 작거나 큰 경우, 입을 벌리고 있는 습관, 손가락 빠는 습관, 턱뼈의 손상이나 선천성 이상 등 여러 원인이 있다.
부정교합의 진단
X선 영상으로 뼈의 위치와 치아 위치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치과 부정교합 영상검사는 비보험으로 일반 영상검사보다 비싸다. X선 영상검사로 진단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CT 검사가 진행되기도 한다.
부정교합의 치료
대표적인 부정교합의 치료는 교정치료이다. 부정교합의 진단은 어떤 곳에서 받더라도 비슷하게 진단되나 교정 치료에 관한 의견은 의사마다 다를 수 있고 과잉 교정을 권유할 수도 있기에 두 곳 이상의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에 대한 소견을 확인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교정은 치아에 장치를 부착하고 철사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치아의 위치와 배열을 바꾸는 치료이다. 교정을 위해 치아간 공간이 부족하다면 필요시 발치가 진행되기도 한다. 선천적인 턱 이상이나 결함이 있을 경우 교정치료 전후로 수술치료가 필요하기도 하다. 또한 인후두 비대로 인하여 입을 벌리고 호흡하는 문제가 부정교합의 원인인 경우 이비인후과적으로 편도 제거를 수술을 하여 구강호흡을 교정하여 자연스럽게 구강이나 치열이 교정되기도 한다.
부정교합 교정치료 주의사항
부정교합 교정치료는 어린 시기에 시작하는 경우가 다수이나 성인도 교정을 할 수 있고 나이와 교정치료는 상관관계가 없다. 특히나 부정교합으로 먹는 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혹은 미적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경우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교정치료 시 충치가 생기지 않도록 치아 관리를 잘해야 한다. 또한 성인이 교정을 하는 경우 이미 부정교합에 맞추어 자란 피부 형태가 교정으로 인한 발치, 혹은 치열이 고르게 되며 공간이 줄어들 경우 팔자주름이 생기거나 볼 처짐이 생기기도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질병, 여름철 장염, 식중독 (0) | 2022.06.22 |
---|---|
의료급여일수 연장승인신청서 (0) | 2022.06.20 |
의무기록 발급, 의무기록 복사, 의무기록 사본발급 (영상검사 복사, 진료기록 복사, 차트복사, 검사결과지 복사) (0) | 2022.06.16 |
중증질환 산정특례 제도 (0) | 2022.06.15 |
통원확인서(통원치료확인서), 통원증명서 알아보기 (0) | 2022.06.14 |
댓글